반응형
SMALL
"자유형,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요!"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자유형의 기본 원칙과 팁을 알려드립니다. 이번 글을 통해 자유형의 기초를 탄탄히 다져보세요.
1. 자유형, 왜 이렇게 어렵게 느껴질까?
처음 자유형을 배우면 “왜 숨쉬기가 이렇게 힘들지?”, “몸이 왜 가라앉지?”라는 고민이 생깁니다. 이는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. 자유형은 팔, 다리, 호흡이 모두 조화를 이루어야 하기에 초보자에겐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
- 팔 동작의 부자연스러움: 물을 효과적으로 잡아내지 못합니다.
- 호흡의 어려움: 고개를 과도하게 들어 균형을 잃습니다.
- 약한 킥: 발차기의 리듬이 맞지 않아 몸이 쉽게 가라앉습니다.
(1) 팔 스트로크: 물을 잡아야 앞으로 나갑니다
팔 동작은 단순히 물을 밀어내는 것이 아니라, 물을 '잡아내고' 몸을 앞으로 밀어내는 과정입니다.
- 팔을 길게 뻗기: 물속에서 팔을 최대한 앞으로 뻗어 시작하세요.
- 물잡기: 손바닥으로 물을 움켜쥔다는 느낌으로 당기세요.
- S자 스트로크: 팔이 물속에서 S자 모양을 그리게 하여 더 많은 물을 밀어냅니다.
(2) 호흡은 자연스럽게, 고개는 살짝만 돌리세요
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이 호흡입니다. 고개를 너무 들면 균형을 잃고, 몸이 가라앉게 됩니다.
- 고개 살짝 돌리기: 입 한쪽만 물 밖으로 나오게 하세요.
- 리듬 유지하기: 스트로크 두 번에 한 번 호흡하는 리듬을 만들어보세요.
- 숨 참지 않기: 숨을 오래 참지 말고 짧고 자연스럽게 호흡하세요.
(3) 킥의 리듬: 짧고 빠르게
발차기는 몸의 균형과 추진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- 발끝 뻗기: 발목을 유연하게 펴서 저항을 줄이세요.
- 짧고 빠르게: 크고 느린 발차기 대신, 짧고 리드미컬한 킥을 유지하세요.
- 코어 근육 사용하기: 복부와 엉덩이 근육을 함께 사용하면 더 안정적으로 몸을 뜨게 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
LIST